본문 바로가기

육아51

‘활발한 아이 vs 조용한 아이, 비교하지 않는 양육법’ 아이는 다르게 태어나고, 다르게 자란다. 비교는 의미 없는 출발선이다.아이를 키우다 보면 부모는 본능적으로 비교하게 된다. 같은 또래 친구들, 형제자매, 이웃 아이들과 자신의 아이를 겹쳐보면서 “왜 우리 아이는 저렇게 활발하지 못할까?”, “형은 친구도 많고 리더십도 있는데, 둘째는 너무 소극적이야.”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특히 형제가 성격이 반대일 경우, 부모는 더 혼란스럽다. “내가 뭘 다르게 했나?”, “조용한 성격이 문제일까?” 같은 자책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이의 기질은 부모의 훈육만으로 바꿀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 타고난 신경 반응의 패턴이다. 활발한 아이는 새로운 자극에 빠르게 반응하고, 말이 많고 에너지가 넘치며 감정 표현이 크다. 반면 조용한 아이는 낯선 자극 앞에서.. 2025. 5. 24.
사회성이 부족한 게 아니라 아직 익숙하지 않은 거예요 – 아이 성향 존중 훈육법 사회성이 부족한 게 아니라, 낯설고 익숙하지 않을 뿐이에요어른도 처음 가는 자리에서는 긴장되고, 낯선 사람 앞에서는 말수가 줄어들 수 있다. 하물며 세상에 나온 지 3~5년밖에 안 된 아이들이 모든 사람과 금방 친해지고, 잘 어울리길 바라는 건 지나친 기대일 수 있다. 부모들은 종종 아이가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하거나, 또래 활동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일 때 “사회성이 부족한 거 아니야?”, “자꾸 혼자 노는 게 걱정돼”라는 말을 하곤 한다. 하지만 많은 경우, 그것은 사회성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단지 아직 낯설고 익숙하지 않아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반응일 뿐이다. 사회성은 선천적인 성격이 아니라, 반복되는 관계 경험 속에서 자란다. 익숙한 사람에게는 활발하지만, 새로운 환경에서는 위축되는 아이는 성향으로 민.. 2025. 5. 23.
낯가림은 아이가 불안하다는 신호일 뿐, 이상한 게 아니다. 낯가림은 발달의 일부, 아이의 감정 조절력 성장을 의미한다.아이를 키우다 보면 “우리 애는 낯을 너무 가려요”라는 말을 수없이 하게 된다. 친척 앞에서도, 또래 친구들 앞에서도, 또는 처음 보는 선생님에게도 아이가 얼굴을 숨기고 부모 뒤에 숨는 행동을 보일 때면 부모는 불안해진다. “혹시 사회성이 부족한 건 아닐까?”, “성격이 이상하게 형성된 건 아닐까?”라는 걱정이 떠오른다. 하지만 낯가림은 그 자체로 이상한 행동도 아니고, 고쳐야 할 성격 문제도 아니다. 오히려 아이가 정서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고 있다는 발달의 한 과정이자, 불안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감정 조절의 시작점이다. 보통 생후 68개월 사이, 아이는 생존 본능의 목적으로 낯가림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는 부모와 부모가 아닌 사람을 구분할.. 2025. 5. 23.
낯가림 아이, 어린이집 첫 등원 전 꼭 필요한 준비 루틴 낯가림 심한 아이의 첫 등원, 준비 없이 시작하면 불안이 쌓인다.어린이집 첫 등원은 모든 아이에게 낯설고 긴장되는 시간이지만, 특히 낯가림이 심한 아이에게는 정서적으로 매우 큰 도전이 될 수 있다. 낯선 교사, 처음 보는 또래 아이들, 새로운 공간과 규칙까지 아이는 단기간에 많은 변화와 마주하게 되고, 이 모든 것이 심리적 불안을 크게 증폭시킬 수 있다. 부모로서도 “다른 아이들은 잘만 다닌다는데 우리 아이만 너무 힘들어하는 건 아닐까?”라는 불안과 자책이 생기기 쉽다. 하지만 낯가림은 발달적으로 자연스러운 반응이고, ‘적응에 더 시간이 필요한 아이’일 뿐, 결코 이상하거나 부족한 아이가 아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건 ‘그냥 데려다 놓으면 적응하겠지’라는 방식보다, 첫 등원 전부터 아이의 정서적 방어력을.. 2025. 5. 23.
낯가림 심한 아이, 사회성 키우는 첫 단계 낯가림은 아이가 불안하다는 신호일 뿐, 이상한 게 아니다.아이에게 낯가림이 심하다는 말을 들으면, 많은 부모는 당황하거나 걱정하게 된다. “우리 아이만 너무 소극적인 건 아닐까?”, “사람 많은 곳만 가면 울어요” 같은 고민을 자주 하게 되는데, 사실 낯가림은 대부분의 아이가 자연스럽게 겪는 발달 과정 중 하나다. 생후 6~8개월부터 아이는 본능적으로 낯선 사람과 익숙한 사람을 구분하기 시작하며, 이 시기를 기점으로 부모 외 인물에게 불안감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반응은 오히려 정서적 분화가 시작됐다는 긍정적인 신호다. 다만 이 감각이 아이에 따라 조금 더 강하게, 또는 오래 지속되기도 한다. 문제는 아이의 낯가림보다도 부모가 그것을 어떻게 바라보고 반응하느냐에 따라 사회성 발달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2025. 5. 23.
아이 경제 교육, 용돈은 언제부터 어떻게 줘야 할까? 용돈 교육은 단순한 돈 관리가 아니라 ‘자기 결정력’을 키우는 훈련이다.많은 부모가 아이에게 용돈을 주는 시기를 고민한다. “이제 돈을 가르쳐야 할까?”, “아직 숫자도 제대로 못 세는데 괜찮을까?”라는 걱정은 당연하다. 하지만 용돈은 단순히 돈을 쓰게 하는 수단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경험을 만들기 위한 도구다. 경제 교육의 핵심은 ‘돈을 아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사용할지를 스스로 판단하게 만드는 힘’을 키우는 것이다. 이 힘은 4~5세 전후부터 서서히 형성되기 시작한다. 아이가 “이걸 사고 싶어”, “이건 나중에 살래” 같은 표현을 자주 사용하고, 욕구를 표현하며 물건의 가치를 따지기 시작할 때가 용돈 교육을 시작할 수 있는 좋은 타이밍이다. 특히 유아기에는 돈을 정확하게 계산하.. 2025. 5. 22.